• 입력 2003.04.24 17:04

이천 서씨 (利川 徐氏)
함평군 본관별 씨족 순위 9위로 상위

원래 서씨는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인 기준(奇準)이 위만(衛滿)에게 쫓겨 지금의 이천땅 서하역(徐河域)에 자리 잡고 산 것이 시초라고 한다. 기자와 관련 있는 성씨는 서씨 외에 청주 한씨, 태원선우씨(太原鮮于氏), 행주 기씨 등이 있다. 모든 서씨들은 신일(神逸)을 원조로 하고 있다.

문헌에 서씨는 165개 본으로 있으나 1985. 11. 1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조사 자료에 의하면 전국에 54개 본 144,335 가호 611,206명으로 전국 성씨별 순위 14위며 1,000호가 넘는 본은 달성 94,873호, 이천 34,457호, 대구 3,365호, 부여 3,032호, 남양 2,944호, 장성 1,472호, 연산(황산) 1,402호, 남평 1,102호의 8개 본인데 대구와 달성이 같은 본이므로 7개 본이다.

함평에는 1969년 조사에서는 이천 420호, 달성 23호의 2개 본이었고, 1985년 조사에서는 가호를 이르며 살고 있는 본이 이천 365호 1,494명, 달성 26호 123명, 남양 4호 23명, 남평 3호 13명, 인천 2호 9명, 장성 1호 11명, 연산 1호 3명으로 7개 본, 가호를 이루지 않고 살고 있는 본이 밀양 2명, 경주, 부여가 각 1명으로 3본, 합하여 10개 본이 살고 있다.

▲ 이천 서씨(利川 徐氏)

서씨 중 원종(元宗)으로 일컬어 오고 있으며 시조는 신일(神逸)이다.

그는 신라 효공왕(孝恭王) 때 아간(阿干) 벼슬을 지내다가 국운이 다한 것을 알고 이천의 효양산록(孝養山麓)에 머물며 후진 양성에 전력하였다. 후손들이 시조의 은거지인 이천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오고 있다.

1985년 조사에 의하면 함평군에는 365호 1494명이 살고 있어 함평군 본관별 씨족 순위 9위로 상위에 속한다. 함평에는 원숙공파(元肅公派)와 강호공파(江湖公派) 그리고 정암공파(正巖公派)가 사는데 강호공파의 손들이 번성하여 주종을 이루고 있다.

원숙동파의 함평입향은 고려조로 거슬러 올라가 함평의 토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객반성으로는 인동 장씨에 이어 두 번째로 입향 연대가 빠르다. 원숙공파의 함평 입향조는 희찬(希贊)이다. 그는 시조의 11세손으로 고려 고종 때 등과하여 이부시랑, 이어 기성군(箕城君)에 봉작되는 등 중추적인 인물이었는데 충열왕 때 정국이 혼란함을 보고 환멸을 느껴 벼슬을 버리고 1290년경 갈동면(현 월야면 용월, 양정리 일대)에 이거 정착하였다. 그의 현손 중 맹원(孟源)이 1380년경 강진으로 이거하여 그 후손이 강진과 해남으로 번졌다. 묘소는 월야면 오수산에 있다.

강호공파(파조 연-演, 중조 인-鱗-의 8세손)의 함평 입향은 원숙공파 보다 300여년 후이다. 중조 인의 10세손인 경춘(景春, 간-諫-의 다섯째 아들이며 막내)이 1580년경 무안의 몽탄에서 엄다면 성천리 성암으로 이거 정착했으며 경인(景仁, 간의 둘째 아들)이 1590년경 대동면 백호리로 이거 하였으나 그의 후손이 무안과 영광군으로 이거하여 번성하였는데 경인의 7세손 중 몽철(夢喆)이 1750년대에 영광군에서 대동면 백호리 보화촌으로 돌아왔고, 8세손 중 명추(命樞, 중조의 12세손)가 1750년대에 몽탄에서 함평읍 자풍리 비아로 이거 정착하였다.

중조의 9세손이며 간의 동생인 인( )이 아들 경개(景介)와 함께 1590년경 대동면 금곡리에 이거 정착하였으며 증손 중 필인(必仁)이 나주시 문평으로 옮겨 정착했다.

정암공파(파조 숭로-崇老, 시조의 23세손)는 시조의 33세손인 명택(命宅, 1780∼1836)이 1800년경에 무안군 몽탄에서 신광면에 이거하였고 그의 증손 광인(洸仁)이 청계면으로 옮겨 그의 후손은 모두 함평을 떠났다.

이어 시조의 34세손인 치상(致祥)이 1830년경 영광군 군남에서 나산면 구산리에 이거 정착하여 그 후손이 번성하였고, 시조의 35세손인 윤옥(崙玉)과 성옥(成玉, 1834∼1877)형제가 1850년대에 무안군 몽탄에서 해보면 금계리로 이거하여 그 후손이 번창하였다. 군내에서 10호 이상 거주하고 있는 곳은 엄다면 성암리, 학교면 월산리, 대동면 금곡리, 백호리, 신광면 가덕리, 나산면 구산리, 해보면 금계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