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 2010.01.25 10:34

임요준 함평신문편집국장
지난 12일 월야면사무소 면장실 분위기는 서로의 눈치만을 살피며 굳은 표정에 10여명이 중간 탁자를 사이에 두고 마주 앉았다.

빛그린 국가산단 주민간담회가 열린 것. 미리 배포된 자료를 훌터보며 넘어가는 종이소리만이 정적을 깨고 있었다.

군 직원의 사회로 회의는 시작됐다. 이건택 월야면장에 이어 최인규 창조디자인과장의 인사말이 이어졌다. 특별히 할 말이 없었을까? 배포된 자료를 설명하는 것으로 대신했다.

이어 정진숙 백야마을보존위원회위원장의 말이 이어졌다. 굳은 표정에 정 위원장은 70세가 넘은 고령자였다. 정 위원장의 첫 마디. “우리가 뭘 요구하겠는가. 우리는 요구할 입지도 없고 힘도 없다. 힘 있는 자는 토공(한국토지주택공사)만이 힘이 있다. 우리는 죽을 수밖에 없다.”며 모든 것을 체념한 듯 했다.

그러면서 “이미 고인이 되신 분에게 안내장이 오고 있다. 그리고 수 십년 전 전․답의 실제 소유자가 바뀌었지만 등기상 소유자 변경을 하지 않아(주민들간)문제가 발생되고 있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회의를 마치고 정 위원장과 인터뷰를 했다. “보상금을 받아도 1억원도 안되는 주민이 80% 이상이다. 이 금액으로 어디에서 땅을 사고 집을 지을 수 있겠냐.”며 “조상대대로 갈고 닦은 500년의 역사를 지닌 마을에서 쫓겨나게 됐다. 자식을 키우며 평생을 살아온 이곳에서 어디로 가란 말이냐?”며 울분을 토했다.

보상금에 만족하는 주민은 별 어려움이 없는 듯 했다. 그러나 주민 대부분이 고령이면서 집 칸 하나만 달랑 소유하고 있는 주민이 80%다. 감정가로 보상하는 보상금이라 해봤자 뻔한 금액.

고령인 이들이 정든 고향을 떠나 얼마되지 않은 금액으로 어디에서 부지를 마련해 집을 짓고 살 수 있겠는가? 법 앞에서 진퇴양난에 놓인 그들에게 진정 해결책은 없는가?

박윤식 군수권한대행은 “이분들을 어떻게 하면 도울 수 있을까를 다각적으로 연구․검토하고 있다. 이분들이 새로운 곳에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삶의 터전을 마련해 드리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2009년 1월 20일. 지금부터 꼭 1년 전이다. 우리는 용산대참사를 똑똑히 기억한다. 개발이라는 명목하에 길거리에 내더진 철거민들의 울부짖음이 지금도 귓전에 생생하다. 법 앞에서 그들의 목숨은 아무것도 아니였다. 생명보다 소중한 것은 이 세상 그 무엇도 없는데 말이다.

법과 개발을 앞세워 한 사람이라도 피해자가 나와서는 안 된다. 개발과 복지는 시소게임놀이가 아니다. 함께 공존해야 한다. 이번 빛그린 산단의 조성을 위해 주민들의 삶을 소홀히 하지는 않했는지 다시한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 모두가 함께 풀어야할 숙제이다.